제1장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미러 양국의 지정학적 대립

1. 2021년 제네바 회담: 또 다른 지정학적 대립 구도의 완성
https://letrleter.tistory.com/m/78
2021 제네바 회담: 또 다른 지정학적 대립 구도의 완성
2021년 6월 16일, 미국 바이든 대통령과 러시아 푸틴 대통령은 스위스 제네바에서 회담을 열었다. 이 회담에서 양측은 핵전쟁 방지, 포로 맞교환 등 사안에 합의했지만, 서로의 의견 차이만 확인했
letrleter.tistory.com
2. 새로운 전쟁의 서막: 우크라이나 대평원과 남중국해, 타이완으로
https://letrleter.tistory.com/m/115
새로운 전쟁의 서막: 우크라이나 대평원과 남중국해, 타이완으로
오늘 중국에서 병역법 수정안(초안)을 공포했다. 대략적인 내용은 매년 12월 31일 이전까지 18세 이상의 남성은 자신이 소속된 지역 병역 복무기관에 등록해야 하며, 여성 군인 처우 개선 및 군사
letrleter.tistory.com
3. 수니파 벨트 가설에 반박하며: 중앙아시아 부족주의와 종파주의 싸움에 대한 단상
https://letrleter.tistory.com/m/118
수니파 벨트 가설에 반박하며: 중앙아시아 부족주의와 종파주의 싸움에 대한 단상
이번 아프가니스탄 사태에 대한 분석 글을 보면서 재미있는 가설을 접했는데, 바로 수니파 벨트가 만들어져 중국의 “일대일로” 제안에 따른 교통 인프라 건설을 방해할 것이란 주장이다. https
letrleter.tistory.com
4. 우크라이나의 지정학적 위기에 대한 단상
https://letrleter.tistory.com/m/139
우크라이나의 지정학적 위기에 대한 단상
최근 우리 언론이 우크라이나 문제로 시끄럽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11223_0001699980&cID=10101&pID=10100 푸틴 "나토, 우리 속이고 확장…유럽, 가스값 폭등 자초"(종합) [런던=뉴시스]이지예..
letrleter.tistory.com
5. 2022년에 일어날 수 있는 지정학적 이벤트
https://letrleter.tistory.com/m/148
2022년에 일어날 수 있는 지정학적 이벤트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재집권으로 인해 심장지대에 자신들을 위협할 세력이 없는 중·러 군사협력체는 이제 과감한 팽창을 시도할 것이다. 그러나 이는 지정학적 이치로 보면 너무도 쉽게 예상
letrleter.tistory.com
6. 중러 군사협력체의 포위망 돌파와 미국의 대응
https://letrleter.tistory.com/m/149
중·러 군사협력체의 포위망 돌파와 미국의 대응
https://letrleter.tistory.com/m/29 “중∙러 군사협력체”란 무엇을 뜻할까? 나는 글에서 “중∙러 군사협력체”라는 용어를 자주 사용한다. 우리에게 익히 알려진 바와 같이 중국과 러시아는 군사 동
letrleter.tistory.com
7. 두긴의 지정학 서사와 아르카임 유적-러시아 지식인들은 어떻게 자신의 역사를 바꾸고 있는가?
https://letrleter.tistory.com/m/156
두긴의 지정학 서사와 아르카임 유적 -러시아 지식인들은 어떻게 자신의 역사를 바꾸고 있는가?
범-투란주의의 계승자인 신-유라시아 학파는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의 대립이라는 지정학적 서사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같은 서사구조에서 그들은 로마와 카르타고의 전쟁을 육상세력과 해양세
letrleter.tistory.com
8. 예정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합병, 그후
https://letrleter.tistory.com/m/158
예정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합병, 그후
https://www.yna.co.kr/view/AKR20220113171151080?input=1195m 러 "서방과 안보협상 실패시 쿠바 등에 군사인프라 배치할 수도"(종합) | 연합뉴스 (모스크바=연합뉴스) 유철종 특파원 = 서방과의 안전보장 협상이..
letrleter.tistory.com
9.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처하는 유럽제국의 군사적 대응에 대해
https://letrleter.tistory.com/m/164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처하는 유럽제국諸國의 군사적 대응에 대해
《예정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합병, 그후》에서 필자는 모스크바가 1차적으로 우크라이나에 친러 정권을 세울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다. https://letrleter.tistory.com/m/158 예정된 러시아의 우크라이
letrleter.tistory.com
10. 심장지대 제국의 지정학: 우크라이나 사태와 러시아 흑해 내해화에 대해
https://letrleter.tistory.com/m/167
심장지대 제국帝國의 지정학: 우크라이나 사태와 러시아의 흑해 내해화內海化에 대해
https://brunch.co.kr/@96cb4860cbd5418/21 심장지대 제국의 지정학 우크라이나 사태와 러시아의 흑해 내해화에 대해 | 알렉산드르 두긴은 자신의 책 《세계섬의 마지막 지정학 전쟁》에서 러시아를 심장지
letrleter.tistory.com
11. 우크라이나령 갈리치아와 판노니아 평원 북동부의 지정학적 의의
https://letrleter.tistory.com/m/168
우크라이나령 갈리치아와 판노니아 평원 북동부의 지정학적 의의
https://brunch.co.kr/@96cb4860cbd5418/22 우크라이나령 갈리치아와 판노니아 평원의 지정학적 의의 《심장지대 제국의 지정학》에 대한 지리구조적 해설 | 우크라이나의 지정학적 입지에 대해 말하기에
letrleter.tistory.com
12. 어쩌면 위대한 지정학자 스탈린
https://letrleter.tistory.com/m/169
어쩌면 위대한 지정학자-스탈린
https://letrleter.tistory.com/m/168 우크라이나령 갈리치아와 판노니아 평원 북동부의 지정학적 의의 https://brunch.co.kr/@96cb4860cbd5418/22 우크라이나령 갈리치아와 판노니아 평원의 지정학적 의의 《심장..
letrleter.tistory.com
제2장 중앙아시아 자립의 꿈과 좌절
13. 에르도안의 야망, 그리고 나자르바예프의 동상이몽
https://letrleter.tistory.com/m/142
에르도안의 야망, 그리고 나자르바예프의 동상이몽
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1112402109919607006&ref=naver 신돌궐 1500년만에 부활… 中 긴장 최근 터키와 카자흐스탄, 아제르바이잔,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등으로 구성된 '.. www.dt.co.k..
letrleter.tistory.com
14. 중앙아시아 내부의 분열 요소와 OTS의 불안한 미래
https://letrleter.tistory.com/m/144
중앙아시아 내부의 분열 요소와 OTS의 불안한 미래
연합뉴스에 재미있는 기사가 나왔다. www.yna.co.kr/view/AKR20211227063800074?input=1195m 신장 독립운동 부추길라…中, 튀르크계 국가 밀착에 긴장 | 연합뉴스 (홍콩=연합뉴스) 윤고은 특파원 = 중국이 신장(
letrleter.tistory.com
15. 누르술탄·알마티의 1월-캉글리 벨트의 완성
https://letrleter.tistory.com/m/150
누르술탄·알마티의 1월 -캉글리 벨트의 완성
카자흐스탄에서 반정부 시위가 일어났다. LPG 가격 인상이 도화선이 된 이 사건은 알마티, 누르술탄 등지의 대규모 반정부 시위로 이어졌으며, 시위대는 옛 수도 알마티 공항을 접수했을 뿐만 아
letrleter.tistory.com
16. 카자흐스탄 반정부 시위 진압을 바라보며
https://letrleter.tistory.com/m/152
카자흐스탄 반정부 시위 진압을 바라보며
중앙아시아에서 어떤 일이 일어날지 궁금하면 저 두 편의 글을 참고해도 된다. https://letrleter.tistory.com/m/85 “호라산 벨트”와 중앙아시아 정치 지형의 변화(아프가니스탄의 미래는 어찌될 것인
letrleter.tistory.com
'지정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쩌면 위대한 지정학자-스탈린 (0) | 2022.01.27 |
---|---|
우크라이나령 갈리치아와 판노니아 평원 북동부의 지정학적 의의 (0) | 2022.01.27 |
심장지대 제국帝國의 지정학: 우크라이나 사태와 러시아의 흑해 내해화內海化에 대해 (0) | 2022.01.26 |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처하는 유럽제국諸國의 군사적 대응에 대해 (1) | 2022.01.24 |
예정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합병, 그후 (0) | 2022.01.19 |